매년 돌아오는 이 가을이라는 계절은 신기한 매력이 있습니다. 나무들이 겨울을 나기 위해 이파리를 떨어뜨리는 모습을 보아서인가, 줄어든 일조량 때문인가. 한 해 동안 나에게 어떤 재미난 이벤트가 있었고, 나에게는 어떤 변화가 있었으며, 취해야 할 것은 무엇이고 두고 가야 할 것은 무엇인지 돌이키게 되네요. 추석은 그런 마음을 먹으며 보내는 명절입니다. 저는 농부가 아니기에 작물을 수확하지 않지만, 연 초의 다짐들과 계획들이 실행으로 옮겨져 익어가는지 짐작해 봅니다.
우습게도 난생 처음 밟아 본 북미 땅에 대해 향수병 같은 걸 겪고 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에 잠시 들른 건 지난 여름이 끝나가던 무렵인데요, 넓고 심심한 낯선 동네에 있다가 서울로 돌아오니 네온사인은 번잡하고 온갖 표지판은 왜 이렇게 많은걸까요. 그짝에선 제가 정말 하면 안되는 몇가지를 일러준다면 여긴 이렇게 하면 좋다는 걸 크게 귀에 대고 쉼없이 외치는 것 같습니다. 서울의 구성원들은 서로에게 관심도, 정도 많고, 말하고자 하는 정보도 많습니다.
Every year, when autumn comes around, it always feels a bit magical. Maybe it’s because I see trees letting go of their leaves to survive the winter, or maybe it’s just the less daylights. This season always makes me look back at what fun moments I had this year, what’s changed in my life, what’s worth keeping, and what I should let go of. That’s what 추석 is for: taking time to reflect. I’m not a farmer harvesting crops, but I still wonder if the resolutions and plans I made early in the year have been growing and ripening as they should.
Lately, I’ve been feeling something like homesickness for North America I stepped on for the first time not too long ago. I was there at the end of summer, visiting the U.S and Canada. After spending time in those wide, quiet towns, Seoul now feels almost too loud that full of neon lights and signs everywhere. Over there, life quietly tells you what not to do. Here, it feels like the city keeps shouting what you should do right into your ear. In Seoul, they care a lot about each other, about themselves, and about sharing everything they know.
요즘은 이런 생각을 가장 많이 합니다. 어떻게 하면 진짜가 될 수 있을까. 그리고 나는 과연 인스타그램 없이 외롭지 않을 수 있을까.
저의 존재를 의심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나다움에 대해 평소보다 더 오랜 시간 고민하게 되었다는 뜻입니다. 이 진지한 주제에 대해 진지하게 탐구해 볼 좋은 상황이 만들어진 것이기도 합니다. 크리에이터가 되어 미디어를 더 잘 활용하고 싶은데, 제 자신을 어떻게 소개하면 좋을까, 또는 디제이로서 어떤 장르의, 어떤 메시지를 담은, 어떤 언어의 어떤 가사가 있는 음악을 골라야 할까 와 같은 자기 표현을 할 때 마주하게 되는 선택에서 오는 궁금증입니다. 행복한 궁금증이죠.
어쩌다 보니 인스타그램 없이 살지 못하는 사람이 되었습니다. 새로운 공간에서 새로 만난 사람과 인스타그램 친구를 맺은 다음 며칠간 서로의 소식을 보며 친해지고, 작업 의뢰도 인스타그램 메시지를 통해 받고, 제 감정과 생각도 인스타그램 게시글을 통해 세상에 내놓고, 하루 종일 제 일상을 이 플랫폼을 통해 중계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 외로움입니다. 근데 무섭습니다. 누가 내 소식을 봤는지 확인하고, 많은 좋아요가 달린 것에 기뻐하며, 플랫폼이 정해 준 우선순위대로 지인들의 소식을 넘겨보는 게 너무나 당연하고 자연스러워진 게 무섭습니다. 그리고 반항심도 듭니다.
These days, I find myself thinking a lot about How can I be authentic? and Can I be okay without Instagram?
It’s not that I doubt my own existence. I’ve just been thinking more deeply than usual about what it means to be myself. It’s actually a good time to explore that seriously.
As someone who wants to be a creator using media channel, I keep asking myself How should I introduce myself? As a DJ, which genre of music should I play what language, what lyrics, what message? Those kinds of questions make me curious in a good way.
But somehow, I’ve become someone who can’t live without Instagram. When I meet new people, we follow each other, watch each other’s stories for a few days, and get closer. I get work requests through DMs, share my thoughts and emotions through posts, and broadcast my daily life through that platform. At the root of all that, is loneliness. And that’s what scares me how natural it’s become to check who viewed my story, to feel happy about likes, and to scroll through my friends’ updates in the order the platform decides. It feels too normal now. Even that makes me want to resist it.
다행인 것은 내면의 평온함을 잘 유지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그게 사랑이던 일이던 집착할 대상이 있어야만 불안함을 잊을 수 있었는데요, 지금은 나름 건강하게 잘 보내고 있습니다. (일이던 사람이던) 조만간 어디선가 떠내려올 눈사태에 휩쓸리겠지만 즐겁게 스노우보딩 할 준비가 돼 있어요.
어제는 오랜만에 일본에 계신 부모님과 영상 통화를 했습니다. 부모님은 일본에서 드디어 차를 한 대 장만하시고 주말마다 교외로 데이트를 나가신대요. 전화를 끊기 전에 ‘지금의 소중한 시간을 잘 즐기셨음 좋겠다’고 했어요. 부모의 자녀가 성인이 되고 중년이 되어도 어린 아이처럼 보인다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부모님 입장에서 그 말이 좀 웃겼을 수도 있겠네요 ㅋㅋ.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내가 지금 처한 상황, 내가 있는 장소에서 내면의 평온함을 잘 유지하는 것, 그리고 삶의 흘러감을 즐길 줄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요.
The good thing is I’m doing pretty well keeping piece inside of myself. In the past, I needed something or someone to obsess over to feel less anxious. But now, I think I’m in a healthier status. Sooner or later, I’ll probably get swept up in another avalanche which is of work or emotions. But I feel ready for it.
Yesterday, had a facetime with my parents in Japan. They finally bought a car and have been going on weekend drives together. Before we hung up, I told them, “I hope you really enjoy this time in your life.” Thinking about it now, maybe that sounded funny to them their adult son saying that like a little kid ㅋㅋ.
Anyway, I think this is what matters most:
to stay calm inside, wherever you are, and to enjoy the moment of life.
해피 추석!
늘 감사합니다. 제가 도울 수 있는 게 있다면 알려주세요!
And if there’s anything I can help with, please let me know.
종한 드림
Best,
Jonghan
제가 최근 서울의 어떤 공간에 갔었는데, 거기에 있는동안은 제가 서울에 있는건지 잘 모르겠더라고요. 대단한 예술이였죠. 인스타그램은 구사할 수 없는 예술이었어요.
멋진 추석 보내세요 :)
Happy Chuseok Jonghan! 🏂~